본문 바로가기

조류·동물

(2190)
큰고니 큰고니 ■ 언제 : 2021. 11. 20.(토) ■ 어디 : 주남저수지에서 ■ 누구랑 : 혼자 큰고니는 천연기념물 201-2호다. 고니가 201-1호 겨울이 오면 주남저수지엔 큰고니가 주류를 이룬다. 고니가 있나 유심히 살펴도 당최 보이질 않는다. 아직 고니는 봐야할 과제로 남아있다. 큰고니는 찍기도 참 많이 찍었다. 그래도 갈 때마다 볼 때마다 눈도장을 찍는다. 괜히 안 보면 섭섭하고 그런게 큰고니다.
댕기물떼새/쇠백로/찌르레기 댕기물떼새/쇠백로/찌르레기 ■ 언제 : 2021. 11. 20.(토) ■ 어디 : 주남저수지에서 ■ 누구랑 : 혼자 주남의 댕기물떼새가 지난 번에는 거리를 안 주더니 오늘은 그래도 조금은 거리를 준다. 언제봐도 댕기머리가 이쁘기도 하고 색감 또한 좋아 여기 오면 매번 얘를 찾기 바쁘다. 쇠백로는 여름철새인데 얘처럼 일부 월동하는 개체도 있다. 찌르레기도 여름철새인데 얘들처럼 일부가 중부이남에서 월동하는 개체가 있다.
큰기러기 큰기러기 ■ 언제 : 2021. 11. 20.(토) ■ 어디 : 주남저수지 가는 길에 ■ 누구랑 : 혼자 쇠기러기가 먼저 오더니 요즘은 큰기러기 일색이다. 하루가 다르게 개체 수가 많아진다. 혹시 '개리'가 있나 유심히 살폈지만 눈에 띄지 않는다. 분명히 저 많은 기러기 속에 있을 텐데~ 언제 내 눈에 띄일라나.
쇠딱다구리/동박새/오목눈이 쇠딱다구리/동박새/오목눈이 ■ 언제 : 2021. 11. 20.(토) ■ 어디 : 주남저수지 가다가 동판저수지에 들러 ■ 누구랑 : 혼자 주남 백양들로 가다가 동판저수지부터 들렀다. 여긴 내겐 양념 같은 곳이다. 어떨땐 예기치 않은 수확을 거둘 때도 있다. 오늘은 가지 않던 들녘까지 누비고 다녔다. 들판엔 큰기러기와 쇠기러기 무리만 보이고 그닥 눈에 띄는 얘는 없다. 농로엔 농기계가 일한 흔적인 흑무더기만 듬성듬성 뿌려져 있다. 내 차는 전기차라 차량 하부에 흙무더기가 떡칠하지 않을까 괜한 우려만 된다. 산기슭에도 때까치랑 더러 다른 새들도 보이더니 오늘따라 흔적도 없다. 저수지 데크로 이동했다. 산기슭엔 박새/쇠박새/쇠딱다구리/오목눈이가 보이고 저수지엔 물닭과 흰뺨검둥오리, 뿔논병아리가 보인다. 셔터가..
댕기물떼새 댕기물떼새 ■ 언제 : 2021. 11. 18.(목) ■ 어디 : 형산강 ■ 누구랑 : 혼자 부지런 떨면 콩고물 하나 더 떨어지게 마련이다. 주야장천 구레나룻제비갈매기한테 매달려 봐야 그게 그거다. 뭐 딴 게 없나 살피러 다니다 요 녀석을 발견했다. 구레나룻제비갈매기가 육추 하는 곳에도 욘석이 두 마리 보였지만 너무 멀어 질감이 많이 떨어졌다. 무료하기도 해 민물가마우지와 갈매기 무리가 있는 곳을 따라 올라갔다. 여러 종이 있었지만 그중 가장 큰 수확이라면 욘석을 들 수 있다. 댕기머리물떼새 며칠 전 주남저수지에서 봤지만 거리가 멀었다. 여기서도 좀 전에 봤던 녀석은 거리가 멀었는데 얘는 비교적 가까이 있었다. 바로 밑에 있는 사진에서처럼 몸을 감추고 있었는데 용케 내 눈에 띄었다. 날아갈세라 우선 숨은..
붉은부리갈매기 붉은부리갈매기 ■ 언제 : 2021. 11. 18.(목) ■ 어디 : 형산강 ■ 누구랑 : 혼자 붉은부리갈매기 1회 겨울깃 붉은부리갈매기
백할미새 백할미새 ■ 언제 : 2021. 11. 18.(목) ■ 어디 : 형산강 ■ 누구랑 : 혼자 백할미새 성조 수컷 겨울깃 백할미새 수컷 1회 겨울깃
논병아리/딱새/물닭/비오리/청둥오리/홍머리오리 논병아리/딱새/물닭/비오리/청둥오리/홍머리오리 ■ 언제 : 2021. 11. 18.(목) ■ 어디 : 형산강 ■ 누구랑 : 혼자 구레나룻제비갈매기 찍으러 갔지만 더 찍어봤자 그게 그거라 운동삼아 주변을 쭉 훑었다. 얘들은 그 부산물 그 외 다른 얘들은 따로 탑재 논병아리 날샷 딱새 암컷. 딱새는 암컷이 앙증 맞고 더 이쁘다. 물닭이 많았지만 본체만체하다가 오늘은 한 컷 했다. 비오리 청둥오리 수컷 두 마리가 나란히 앉은 모습이 예뻐서 한 컷~ 같은 값이면 암.수가 나란히 있지 않고선~ 홍머리오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