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구 탐조 2
포항 바닷가 포구 탐조 2 이것저것 모음 ■ 언제 : 2023. 12. 28.(목) ■ 어디 : 포항 바닷가 포구 ■ 누구랑 : 숲해설가 동기생이랑 ■ 탐조 내용 : 검둥오리사촌, 검은목논병아리, 검은이마직박구리, 귀뿔논병아리, 바다비오리, 큰논병아리, 큰말똥가리, 흰줄박이오리 암.수 여기저기 다니며 찔끔찔끔 본 얘들 모음 검둥오리사촌/ 오리과로 유라시아와 북아메리카 북부에서 번식하고, 유럽 연안과 캄차카, 중국 연안, 북미 서부해안과 동부해안에서 월동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적은 수가 동해와 남해에서 월동한다. 귀하다면 귀한 친구다. 욘석도 아직 본 적이 없다. 첫 대면이다. 첫 대면치곤 인사가 고약타. 벌써 두 번이나 여길 왔었지만 욘석은 그리 반길 맘이 없다. 쌍수를 들고 환영할 만반의 태세를 갖추고 ..
윗지방 탐조 2박 3일(3일차)
3일 차, 팔당댐 참수리 ■ 언제 : 2023. 12. 18.(월) ~ 20.(수) ■ 어디 : 강원, 경기 일원 ■ 누구랑 : 지인 1과 함께, 2일 차 저녁엔 타 지역 지인 부부 2팀과 도킹했고, 다음날 10시까지 포천 국립수목원 함께 탐조 ■ 탐조 내용 : 3일 차 탐조물(포천국립수목원) - 청도요, 양진이, 멋쟁이새, 상모솔새, 유리딱새, 박새, 쇠박새, 아물쇠딱따구리, 쇠딱따구리, 큰오색딱따구리, 검은머리방울새, 참수리 참수리는 수리과 흰꼬리수리속에 속하며 개체수가 적고 희귀종에 속한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맹금류 중 독수리 다음으로 큰 종이고, 수염수리가 참수리보다 더 크지만 수염수리는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적이 극히 드물기 때문에 우리나라 수리과와 매과의 맹금류와 비교하긴 다소 격에 맞지 않는..
윗지방 탐조 2박 3일(3일차)
3일 차, 포천 국립수목원 2 멋쟁이새 ■ 언제 : 2023. 12. 18.(월) ~ 20.(수) ■ 어디 : 강원, 경기 일원 ■ 누구랑 : 지인 1과 함께, 2일 차 저녁엔 타 지역 지인 부부 2팀과 도킹했고, 다음날 10시까지 포천 국립수목원 함께 탐조 ■ 탐조 내용 : 3일 차 탐조물(포천국립수목원) - 청도요, 양진이, 멋쟁이새, 박새, 쇠박새, 아물쇠딱따구리, 쇠딱따구리, 큰오색딱따구리, 검은머리방울새 양진이와 멋쟁이새는 되새과에 속한다. 부리를 보면 이해가 된다. 사실 내가 여기 온 가장 큰 이유가 있다면 바로 이 녀석 때문이랄 수 있다. 여긴 현재 양진이, 멋쟁이새, 청도요가 대세이지만 이미 다른 녀석들은 봤었기에 멋쟁이새만은 꼭 보고 싶었다. 양진이는 쉽게 만났는데 멋쟁이새는 코빼기도 보..
윗지방 탐조 2박 3일(3일차)
3일 차, 포천 국립수목원 2 양진이 ■ 언제 : 2023. 12. 18.(월) ~ 20.(수) ■ 어디 : 강원, 경기 일원 ■ 누구랑 : 지인 1과 함께, 2일 차 저녁엔 타 지역 지인 부부 2팀과 도킹했고, 다음날 10시까지 포천 국립수목원 함께 탐조 ■ 탐조 내용 : 3일 차 탐조물(포천국립수목원) - 청도요, 양진이, 멋쟁이새, 박새, 쇠박새, 아물쇠딱따구리, 쇠딱따구리, 큰오색딱따구리, 검은머리방울새 올겨울 양진이랑은 인연이 많다. 벌써 여러 번 만났다. 아쉽게도 만났고 확실하게도 만났다. 한 번 만나기 시작하니 자주본다. 이상하게 그렇더라. 나는 아직까지 양진이를 만난 적이 없었다. 그런데 올겨울은 양진이랑 인연이 깊다. 여기 양진이는 비교적 쉽게 만난다. 찾아 다닐 필요없이 욘석이 나타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