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905)
윗지방 탐조 2박 3일(3일차) 3일 차, 포천 국립수목원 2 양진이 ■ 언제 : 2023. 12. 18.(월) ~ 20.(수) ■ 어디 : 강원, 경기 일원 ■ 누구랑 : 지인 1과 함께, 2일 차 저녁엔 타 지역 지인 부부 2팀과 도킹했고, 다음날 10시까지 포천 국립수목원 함께 탐조 ■ 탐조 내용 : 3일 차 탐조물(포천국립수목원) - 청도요, 양진이, 멋쟁이새, 박새, 쇠박새, 아물쇠딱따구리, 쇠딱따구리, 큰오색딱따구리, 검은머리방울새 올겨울 양진이랑은 인연이 많다. 벌써 여러 번 만났다. 아쉽게도 만났고 확실하게도 만났다. 한 번 만나기 시작하니 자주본다. 이상하게 그렇더라. 나는 아직까지 양진이를 만난 적이 없었다. 그런데 올겨울은 양진이랑 인연이 깊다. 여기 양진이는 비교적 쉽게 만난다. 찾아 다닐 필요없이 욘석이 나타나는..
윗지방 탐조 2박 3일(3일차) 3일 차, 포천 국립수목원 1 청도요 외 ■ 언제 : 2023. 12. 18.(월) ~ 20.(수) ■ 어디 : 강원, 경기 일원 ■ 누구랑 : 지인 1과 함께, 2일 차 저녁엔 타 지역 지인 부부 2팀과 도킹했고, 다음날 10시까지 포천 국립수목원 함께 탐조 ■ 탐조 내용 : 3일 차 탐조물(포천국립수목원) - 청도요, 양진이, 멋쟁이새, 박새, 쇠박새, 아물쇠딱따구리, 쇠딱따구리, 큰오색딱따구리, 검은머리방울새 어젯밤 포천 국립수목원 가까운 숙소에서 지인 부부 두 팀과 합세했다. 숙소는 부산 지인 부부가 자주 애용한다는 '힐하우스'였는데 여긴 작년에 내가 대학 동기들이랑 하룻밤 머물렀던 곳이다. 숙소는 하루 이틀 머물긴 불편함이 없고 가격 저렴하고 아침엔 조식까지 제공하는 이런 숙소는 구하려고 해도 ..
윗지방 탐조 2박 3일(2일차) 2일 차, 파주와 철원 철원 - 재두루미(그 외 본 새들은 탑재 생략) ■ 언제 : 2023. 12. 18.(월) ~ 20.(수) ■ 어디 : 강원, 경기 일원 ■ 누구랑 : 지인 1과 함께, 2일 차 저녁엔 타 지역 지인 부부 2팀과 도킹했고, 다음날 10시까지 포천 국립수목원 함께 탐조 ■ 탐조 내용 :2일 차 탐조물 - 독수리, 흰꼬리수리 성조와 어린새, 말똥가리, 방울새, 쑥새, 참매 재두루미는 우리집에서 1시간 10분 거리의 주남저수지에 가면 쉽게 만난다. 겨울이면 나 같은 사람들이 즐겨 찾는 놀이터이기도 하며 노인정이기도 하다. 철원에도 재두루미가 많다. 두루미는 극소수가 월동하고 있었지만 여기도 재두루미 개체 수는 많은 편이다. 내가 보기엔 주남저수지보다는 적게 보였지만 철원평야가 워낙 넓다..
윗지방 탐조 2박 3일(2일차) 2일 차, 파주와 철원 철원 - 두루미 ■ 언제 : 2023. 12. 18.(월) ~ 20.(수) ■ 어디 : 강원, 경기 일원 ■ 누구랑 : 지인 1과 함께, 2일 차 저녁엔 타 지역 지인 부부 2팀과 도킹했고, 다음날 10시까지 포천 국립수목원 함께 탐조 ■ 탐조 내용 :2일 차 탐조물 - 독수리, 흰꼬리수리 성조와 어린새, 말똥가리, 방울새, 쑥새, 참매 두루미는 천연기념물 제202호로 주로 우리가 학이라고 부르며 학이라고 부르는 이 새는 바로 두루미를 지칭하는 말이다. 정수리가 붉어 단정학이라고 부르는 이들이 많지만 이는 일본식 표기명이며 우리는 국명인 두루미라 불러야 한다. 500원짜리 동전 뒷면에 새겨진 학이 바로 이 두루미를 새긴 형상이고 두루미과에 속하는 새들 중 가장 기품있고 멋져 보이는..
윗지방 탐조 2박 3일(2일차) 2일 차, 파주와 철원 파주 - 흰꼬리수리 ■ 언제 : 2023. 12. 18.(월) ~ 20.(수) ■ 어디 : 강원, 경기 일원 ■ 누구랑 : 지인 1과 함께, 2일 차 저녁엔 타 지역 지인 부부 2팀과 도킹했고, 다음날 10시까지 포천 국립수목원 함께 탐조 ■ 탐조 내용 :2일 차 탐조물 - 독수리, 흰꼬리수리 성조와 어린새, 말똥가리 독수리 무리에 흰꼬리수리 어린새와 성조도 몇 마리 보인다. 주변에 말똥가리도 더러 보이고 우리 지역 강가에서 힘들게 흰꼬리수리 찍던 요량하면 여기선 너무 쉽게 찍는다. 거리도 좋고 놀기도 잘 놀아준다. 흰꼬리수리야 우리 지역에 놀이터가 있어 찍기도 많이 찍었지만 여기처럼 쉽게 다가와 주진 않는다. 독수리 찍다가 득템한 꼴이다.
윗지방 탐조 2박 3일(2일차) 2일 차, 파주와 철원 독수리 탑재 ■ 언제 : 2023. 12. 18.(월) ~ 20.(수) ■ 어디 : 강원, 경기 일원 ■ 누구랑 : 지인 1과 함께, 2일 차 저녁엔 타 지역 지인 부부 2팀과 도킹했고, 다음날 10시까지 포천 국립수목원 함께 탐조 ■ 탐조 내용 :2일 차 탐조물 - 독수리, 흰꼬리수리 성조와 어린새, 말똥가리 독수리는 원없이 촬영했다. 관심 있는 지역 분들 중심으로 독수리 먹이를 공급하고 관리하시는 분들 덕에 편하게 잘 찍었다. 우리나라에 이런 곳이 몇 군데 있다. 특별난 사람들이 특별한 활동을 하면서 먹이를 주고 월동지를 보호하고 있다. 독수리는 모두 알고 있다시피 지구환경을 정화하는 청소부 역할을 자처하고 있다. 이 녀석들이 사체를 먹지 않으면 지구 환경은 어떤 곤욕을 치를지..
윗지방 탐조 2박 3일(1일차) 1일 차, 전등사와 교동도 중심 탐조 오늘은 '개미잡이'가 효도한 날 ■ 언제 : 2023. 12. 18.(월) ~ 20.(수) ■ 어디 : 강원, 경기 일원 ■ 누구랑 : 지인 1과 함께, 2일 차 저녁엔 타 지역 지인 부부 2팀과 도킹했고, 다음날 10시까지 포천 국립수목원 함께 탐조 ■ 탐조 내용 : 1일차 탐조물 - 개미잡이, 노랑지빠귀, 노랑턱멧새, 쇠박새, 박새, 붉은머리오목눈이, 흰꼬리수리 일기예보에 의하면 도저히 나설 수 있는 길이 아니다. 어제 새벽 4시에 출발하려고 했는데, 엄두가 나지 않는다. 아예 가지 말란 소리다. 오늘 출발 예정이던 지인 부부는 계획대로 강행한단다. 나는 지인 부부팀 보다 하루 빠른 어제 파주 지인과 강화에서 만나 함께 탐조하기로 했는데 빙판길이 우려되어 미안했지..
포항 일대 탐조 보고 또 본 것이지만 ■ 언제 : 2023. 12. 17.(일) ■ 어디 : 포항 일대 ■ 누구랑 : 혼자 ■ 탐조 내용 : 흔한 갈매기류들, 물닭, 바다비오리, 백할미새, 세가락도요, 흰뺨오리, 뿔논병아리 영하의 기온은 차갑지만 무장을 단단히 해서 그런지 바람은 견딜만하다. 여기 저기 많이 싸돌아 다녔다. 포항 바닷가는 아래 위로 다 댕겼다고 해도 무방하다. 다닌 것에 비해 별 소득은 없다. 차가운 바람과 영하의 기온만 만끽했음이 소득이라면 소득이다. 물닭/ 힘센 녀석이 동족을 거의 수장시키다시피 하네요. 바다비오리 붉은부리갈매기/ 흔하지만 예쁘서 세가락도요/ 봄·가을 이동 시기에 무리를 지어 흔히 통과하는 새로 일부 개체는 겨울에 월동하기도 한다. 백할미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