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류·동물

(2185)
검은댕기해오라기 검은댕기해오라기 ■ 언제 : 2023. 08. 14.(월) ■ 어디 : 경산 여기저기 ■ 누구랑 : 혼자 ■ 탐조 내용 : 검은댕기해오라기(성조와 어린새), 깝작도요, 민물가마우지, 쇠물닭(성조와 어린새), 중대백로, 쇠백로, 왜가리, 황로 오늘은 경산 여기저기 둘러봤다. 뭣을 기대하고 간 게 아니라 그동안 밀린 숙제하는 기분으로 그저 확인차 둘러봤다. 새홀리기 출현 장소부터 먼저 갔다. 예상했었지만 그림자도 안 비친다. 올해도 왔는지 아니면 기수를 다른 곳으로 틀었는지 현재로선 종잡을 수 없다. 새홀리기에 대한 기대감은 가볍게 접었다. 작년에 재미 봤던 해오라기나 보러 가자며 자리를 떴다. 그런데 이 녀석도 두문불출이다. 쇠물닭도 있더니만 얘도 코빼기도 안 보인다. 오늘 두 번째 '꽝'이다. 마지막으로..
도요물떼새 4 흰물떼새 모음 ■ 언제 : 2023. 08. 011.(금) ■ 어디 : 포항 한 곳만 ■ 누구랑 : 혼자(현장에서 포항 지인, 경주 지인), 갈 무렵에 대구 지인 그 외 여러 분 ■ 탐조 내용 : 지느러미발도요, 꼬까도요, 뒷부리도요, 민물도요, 붉은어깨도요, 세가락도요, 왕눈물떼새, 큰왕눈물떼새, 좀도요, 꼬마물떼새, 흰물떼새(11종)
도요물떼새 4 지느러미발도요 모음 ■ 언제 : 2023. 08. 011.(금) ■ 어디 : 포항 한 곳만 ■ 누구랑 : 혼자(현장에서 포항 지인, 경주 지인), 갈 무렵에 대구 지인 그 외 여러 분 ■ 탐조 내용 : 지느러미발도요, 꼬까도요, 뒷부리도요, 민물도요, 붉은어깨도요, 세가락도요, 왕눈물떼새, 큰왕눈물떼새, 좀도요, 꼬마물떼새, 흰물떼새(11종) 올 여름들어 네 번째 방문이다. 이번 방문은 태풍 '카눈'이 유사 이래 우리나라 내륙을 휩쓸고 지나간 바로 다음날이다. 막연했으나마 기대는 컸다. 강력한 비바람에 어떤 녀석이 밀려왔을까 내심 기대하는 바 컸던 것이다. 하지만 기대가 크면 실망도 크다고 했던가? 뭣이 없다. 네 번째 방문이지만 오늘이 가장 적게 보인다. 작년에도 태풍 힌남로에 밀려왔던 탈진한 지느러미..
도요물떼새 4 왕눈물떼새와 큰왕눈물떼새 모음 ■ 언제 : 2023. 08. 011.(금) ■ 어디 : 포항 한 곳만 ■ 누구랑 : 혼자(현장에서 포항 지인, 경주 지인), 갈 무렵에 대구 지인 그 외 여러 분 ■ 탐조 내용 : 지느러미발도요, 꼬까도요, 뒷부리도요, 민물도요, 붉은어깨도요, 세가락도요, 왕눈물떼새, 큰왕눈물떼새, 좀도요, 꼬마물떼새, 흰물떼새(11종) 주로 봄·가을에 관찰되는 나그네새로 왕눈물떼새는 흔히 보이지만 큰왕눈물떼새는 국내에선 매우 희귀하게 찾아오는 귀한 새다. 여긴 해마다 왕눈과 큰왕눈을 쉽게 본다. 비교적 가까이 사는 사람들이 누리는 복이랄 수 있다. 왕눈물떼새 큰왕눈물떼새
도요물떼새 4 세가락도요 모음 ■ 언제 : 2023. 08. 011.(금) ■ 어디 : 포항 한 곳만 ■ 누구랑 : 혼자(현장에서 포항 지인, 경주 지인), 갈 무렵에 대구 지인 그 외 여러 분 ■ 탐조 내용 : 지느러미발도요, 꼬까도요, 뒷부리도요, 민물도요, 붉은어깨도요, 세가락도요, 왕눈물떼새, 큰왕눈물떼새, 좀도요, 꼬마물떼새, 흰물떼새(11종) 요즘 이 시기에 이 주변 바닷가에는 세가락도요와 좀도요 등 흔히 보이는 이 녀석들이 대세를 이룬다. 찍기고 많이 찍고 보기도 많이 봤지만 볼 때마다 이쁘고 귀엽기만 하다. 흔하고 질리도록 봐서 굳이 찍고 싶은 마음이 없지만 셔터에 얹은 손은 절로 눌러진다. 욕심도 아니고 집착도 아니다. 그저 아름답고 예쁨에 취한 습관적인 행동에 불과하다.
도요물떼새 4 붉은어깨도요 모음 ■ 언제 : 2023. 08. 011.(금) ■ 어디 : 포항 한 곳만 ■ 누구랑 : 혼자(현장에서 포항 지인, 경주 지인), 갈 무렵에 대구 지인 그 외 여러 분 ■ 탐조 내용 : 지느러미발도요, 꼬까도요, 뒷부리도요, 민물도요, 붉은어깨도요, 세가락도요, 왕눈물떼새, 큰왕눈물떼새, 좀도요, 꼬마물떼새, 흰물떼새(11종) 시베리아 북동부에서 번식하고, 인도,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월동하고 봄철에는 4월 중순에 도래해 5월 하순까지 관찰되며 가을철에는 8월 초순에 도래해 10월 중순 드물게는 11월 초까지 관찰되는 나그네새다. 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자료목록에 취약종(VU)으로 분류된 국제보호조이며 전 세계 집단은 380,000개체로 추정된다고 한다. 황해 지역에서의 갯벌 매립 등..
도요물떼새 4 민물도요 모음 ■ 언제 : 2023. 08. 011.(금) ■ 어디 : 포항 한 곳만 ■ 누구랑 : 혼자(현장에서 포항 지인, 경주 지인), 갈 무렵에 대구 지인 그 외 여러 분 ■ 탐조 내용 : 지느러미발도요, 꼬까도요, 뒷부리도요, 민물도요, 붉은어깨도요, 세가락도요, 왕눈물떼새, 큰왕눈물떼새, 좀도요, 흰물떼새(10종) 유난히 구별하기 좋은 녀석 배에 김을 한 장 붙이고 있어 이름 부르기 좋다.
도요물떼새 4(4번째 방문) 뒷부리도요 모음 ■ 언제 : 2023. 08. 011.(금) ■ 어디 : 포항 한 곳만 ■ 누구랑 : 혼자(현장에서 포항 지인, 경주 지인), 갈 무렵에 대구 지인 그 외 여러 분 ■ 탐조 내용 : 지느러미발도요, 꼬까도요, 뒷부리도요, 민물도요, 붉은어깨도요, 세가락도요, 왕눈물떼새, 큰왕눈물떼새, 좀도요, 흰물떼새(10종) 여기선 비교적 흔하게 보이는 녀석이지만 여기서 보는 것도 한 때다. 좀 있으면 이 녀석도 다른 얘들과 함께 바람처럼 사라지고 없다. 보여 줄 때 부지런히 찍어 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