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류·동물

(2179)
흰배지빠귀 흰배지빠귀 ■ 언제 : 2021. 2. 3.(수) ■ 어디로 : 화원유원지 사문진나루터 ■ 누구랑 : 아내랑
노랑턱멧새 노랑턱멧새 암·수 ■ 언제 : 2021. 2. 3.(수) ■ 어디로 : 화원유원지 사문진나루터 ■ 누구랑 : 아내랑
흰꼬리수리 기대하지 않을 때 얻는다. ■ 언제 : 2021. 1. 30.(토) ■ 어디로 : 늘 가던 거기 ■ 누구랑 : 혼자 오늘은 어디로 가지. 갈 곳은 많고 기다리는 곳은 없다. 최정산을 향했다. 새를 찍다가 어렴풋이 거기 가면 양진이가 있다는 소식을 주워 들었다. 어디 있는지 정확한 지점도 모른 채 무작정 갔다. 갔다간 그냥 한 바퀴 돌고 허무하게 내려왔다. 얘가 어디 있는지 도무지 찾을 수가 없다. 바람은 불고 날씨는 을씨년스럽기만 하다. 아무도 없다. 혼자다. 양진이를 못 보면 수목원으로 가 상모솔새를 만나볼까 했는데 주말이라 수목원에 새 찍으러 가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란 생각이 들었다. 여긴 평일에도 사람들이 많지만 주말엔 사람들이 더 많이 온다. 주말이나 공휴일 같은 날은 안 가는 게 좋다. 그게 새..
큰고니 큰고니 ■ 언제 : 2021. 1. 30.(토) ■ 어디로 : 경산 남하교 아랫쪽 ■ 누구랑 : 혼자 우울했던 예상과는 달리 흰꼬리수리를 만났다. 그것도 비교적 좋은 지점에서 녀석이 머물러 주었다. 내려가면서 좋은 길로 가지 않고 늘 가던 강변 둑길을 따라갔다. 비오리, 물닭, 논병아리, 큰고니 대여섯 마리 정도가 다다. 몸집 큰 왜가리와 대백로가 훨훨 날아 다니기도 하지만, 고녀석들은 별로 상대하지 않는다. 물론 여기 있는 주종들도 별로 달갑게 여기지 않는다. 그런데 오늘 같이 흰수리를 찍던 사람들 중 흰꼬리를 다 찍고선 여기 고니를 보러 간단다. 여긴 고니가 없는데 아마 큰고니를 말하는가 보다 싶었지만, 이 분들은 나름대로 조류 탐조에 일가견이 있는 분들이라 혹시하는 생각이 들었다. 흔히 큰고니를 부..
논병아리/물닭 논병아리와 물닭 ■ 언제 : 2021. 1. 30.(토) ■ 어디로 : 경산 남하교 위쪽 ■ 누구랑 : 혼자 오늘 흰꼬리수리를 만날 수 있을까? 귀하신 몸이신지라 오늘도 쉽게 보여주지 않을 것 같다. 흰꼬리수리 포인트 지점을 벗어나 더 위쪽으로 갔다. 거기 가면 물닭이 지천이다. 물닭을 위시해 쇠오리 흰뺨이가 엄청나게 많이 모여 있다. 혹시 지금까지 못봤던 다른 오리를 만날 수 있을려나 싶었더만, 역시 물닭이 대세다. 쇠오리랑 흰뺨이도 어울려 있다. 오늘 허탕을 많이 쳤는데 아무래도 조짐이 수상쩍다. 흰꼬리수리도 못 만날 것 같다. 잘 안 찍던 동영상 촬영을 했더니 이상하게 찍혔다. 시커멓다. 동영상 촬영 기법도 좀 공부해야겠다. 기념으로 남긴다. 논병아리. 더 위쪽으로 올라가 찍었다. 두어마리가 놀고 ..
수리부엉이 수리부엉이 ■ 언제 : 2021. 1. 27.(월) ■ 어디로 : ***나루터 ■ 누구랑 : 혼자 조류명 : 수리부엉이 학명 : Bubo bubo(Linnaeus, 1758) 분류군 : 올빼미목>올빼미과(Strigidae)>Bubo속 생태적 특징 절벽지대와 바위산에서 생활하며, 밤에 활동한다. 바위틈이나, 오래된 나무의 구멍, 절벽의 바위선반 등에 직접 알을 낳는다. 알은 흰색으로 2~3개 낳아 34~36일 동안 품는다. 일반적 특징 암컷과 수컷 모두 머리꼭대기, 등, 어깨, 허리가 갈색을 띤 검은색으로 각 깃털에는 검은 갈색의 파도모양 얼룩무늬가 있고, 가장자리가 엷은 녹색이다. 1열의 긴 깃털로 된 뿔처럼 생긴 깃도 동일한 색이나 내부가 크림색이다. 뒷목은 엷은 녹색으로 검은색의 세로얼룩무늬가 있다...
큰말똥가리 큰말똥가리 ■ 언제 : 2021. 1. 27.(월) ■ 어디로 : ***나루더 ■ 누구랑 : 혼자 조류명 : 큰말똥가리 학명 : Buteo hemilasius Temminck & Schlegel, 1844 분류군 : 수리과(Accipitridae) 수리부엉이 덕에 큰말똥가리도 봤다. 수리부엉이 위를 유유히 날개짓하며 나는 큰말똥가리가 힘있어 보인다. 너무 높이 날아 내 사진기론 역부족이지만 그렇다고 놓칠 수는 없다. 먼길 오는 손님과 만나기도 전에 나 혼자 잘 논다. 궁금해 하는 산책객을 상대로 사진기에 담은 수리부엉이를 확대해 보여 주기도 하고 아울러 탐조 시 주의할 점도 일러준다. 흰비오리와도 놀고 큰말똥가리도 올려보며 나름 탐조의 묘미를 만끽한다.
흰비오리 흰비오리 ■ 언제 : 2021. 1. 27.(월) ■ 어디로 : ***나루터 ■ 누구랑 : 혼자 조류명 : 흰비오리 학명 : Mergellus albellus(Linnaeus, 1758) 분류군 : 오리과 (Anatidae) 속명 : Mergellus 생태적 특징 급히 흐르는 강보다 큰 하천, 강가의 숲과 저수지 등 낮은 지대를 좋아한다. 둥지로는 참나무류, 버드나무 등의 나무 구멍을 이용하며, 때때로 인공 새집에서도 번식한다. 알은 크림색이 도는 흰색으로 5~14개 낳는다. 일반적 특징 수컷의 겨울 깃은 머리가 흰색이며, 눈 주위는 검은색이다. 목과 어깨 깃은 흰색이며, 등과 허리는 검은색이다. 위 꼬리 덮깃은 어두운 잿빛이며, 가슴, 배는 흰색이고, 윗가슴 옆과 날개 가장자리 부근의 아랫가슴에 각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