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제비갈매기 번식지로 가던 도중 발견한 황새 부부
■ 언제 : 2023. 05. 31.(수) ~ 06. 01.(목) / 1박 2일
■ 탐조지와 탐조 내용
1일 차 : 가평 - 까막딱따구리 육추 장면, 노랑할미새 유조
시흥 - 참매 육추 장면 촬영, 관곡지를 다녀봤으나 새가 없음(개개비 소리만 듣고 쇠물닭만 촬영)
오이도로 이동(오이도에서 1박)
2일 차 : 식전 오이도 탐조 - 검은머리갈매기 촬영, 괭이갈매기 미수에 그친 짝짓기 장면 촬영
신진도와 마도로 이동 - 여기도 새가 없다.(바다직박구리만 찍음)
태안 모처로 이동 - 쇠제비갈매기와 메추라기도요, 알락꼬리마도요, 붉은갯도요, 흰물떼새 등 다양하게 촬영
서산 간월도와 궁리항 그리고 남당항까지 갯벌 탐조를 했으나 여기도 새가 없다.
■ 누구랑 : 대구 지인 한 분, 마산 지인 한 분, 부산 지인 부부(모두 5명)
쇠제비갈매기와 흰물떼새 번식지로 이동하던 중
우연히 황새 두 마리를 발견했다.
처음 발견했을 땐 두 마리가 있어 당연히 부부 황새인 줄 알았더니
혈연관계를 따져보니 모자관계다.
E72는 2021년에 출생했고 당해 6월 17일에 방사됐다.
야생증식된 녀석인데 방사라 표기되어 의아심이 들지만
관계자들의 관찰과 보호를 받은 얘라 그리 표현해도 무방하지 않나 여겨본다.
우포 따오기도 우리 지역 근교에서 발견했는데
황새도 여러곳에서 발견된다.
두 녀석이 인공증식에 성공한 사례라 할 수 있다.
가락지 번호 C02/ 이름은 화평, 출생연도 2009년, 출생지 교원대학교, 성별 암컷, 방사일자 2019. 7. 31, 발견 날짜 2023. 06. 01, 짝지 A01
황새모니터링 기록 DB에 의하면 C02인 얘가 아래 사진에 있는 E72의 엄마다. 그러니까 모자 관계인 두 마리가 쇠제비갈매기 번식지로 이동하던 중 우연히 눈에 띄었다.
가락지 번호 E72/ 이름은 든솔, 출생연도 2021년, 출생지 태안군 남면 달산리, 성별 수컷, 부 A01, 모 C02, 방사일자 2021. 06. 17, 야생증식, 얘는 위 황새의 아들이다. 그러니까 엄마와 아들이 우리 눈에 우연히 띈 것이다. 부부인 줄 알았더니 모자관계네.
모자 관계인 두 마리가 함께 있는 모습도 멀지만 담아본다.
'조류·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교 탐조 (2) | 2023.06.08 |
---|---|
쇠제비갈매기 (0) | 2023.06.04 |
쇠제비갈매기 번식지 (0) | 2023.06.03 |
흰물떼새 (0) | 2023.06.03 |
붉은갯도요/메추라기도요 (2) | 2023.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