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류·동물

붉은갯도요/메추라기도요

728x90

붉은갯도요/메추라기도요

 

 

■ 언제 : 2023. 05. 31.(수) ~ 06. 01.(목) / 1박 2일
■ 탐조지와 탐조 내용

   1일 차 : 가평 - 까막딱따구리 육추 장면, 노랑할미새 유조

               시흥 - 참매 육추 장면 촬영, 관곡지를 다녀봤으나 새가 없음(개개비 소리만 듣고 쇠물닭만 촬영)

               오이도로 이동(오이도에서 1박)

   2일 차 : 식전 오이도 탐조 - 검은머리갈매기 촬영, 괭이갈매기 미수에 그친 짝짓기 장면 촬영

               신진도와 마도로 이동 - 여기도 새가 없다.(바다직박구리만 찍음)

               태안 모처로 이동 - 쇠제비갈매기와 메추라기도요, 붉은갯도요, 흰물떼새 등 다양하게 촬영

              서산 간월도와 궁리항 그리고 남당항까지 갯벌 탐조를 했으나 여기도 새가 없다.
■ 누구랑 : 대구 지인 한 분, 마산 지인 한 분, 부산 지인 부부(모두 5명)

 

 

 

여긴 태안 모처다. 어딘지도 잘 모르겠다.

지인으로부터 쇠제비갈매기 번식지를 소개 받고

거길 가면서 뜻밖의 횡재를 했다고 함이 맞겠다.

 

여기 오기 전에 신진도와 마도를 거쳤지만 정말 새가 없었다.

시기가 맞지 않아 기대하고 간 건 전혀 아니었지만

새가 없어도 너무 없어 사실은 실망이 컸다.

아무리 마음을 비웠다지만 막상 빈손으로 돌아서니 아쉬움이 컸나보다.

 

여기도 큰 기대감없이 갔다. 굳이 말하자면

뭐, 쇠제비갈매기 안 찍은 것도 아니고 딱히 갈 곳도 마땅찮아

지인이 소개해준 곳이라 고마움에 간 것에 불과하다.

 

이번 탐조는 까막딱따구리와 참매 육추 촬영이 주목적이라

이미 목적한 바는 성사했기에 다른 얘들을 보고 못 보고는 다분히 그날 운이다.

먼길 왔으니 그냥 내려가기는 그렇고 그저 여기저기 다녀본다는 마음이 다다.

 

그런데 이게 웬 떡!

쇠제비갈매기를 찍다가 번식지로 자리를 이동하는 중에 뜻밖의 횡재를 했다.

유부도까지 갔을 때 얘가 있었는데 모두 멀어서 존재 자체도 못 알아봤다.

그런 녀석을 전혀 예기치 않은 상황에서 보다니 보고도 믿을 수가 없다.

 

사실 찍었을 땐 얘가 얘인 줄도 모르고 옆에 있는 메추라기도요와 달라보여 일단 찍고봤다.

그런데 알고보니 얘가 그 귀한 붉은갯도요다.

종추는 물론이거니와 얘를 여기서 봤다는 것이 그저 믿기지 않을 뿐이다.

개체 수도 제법된다.

 

까막이와 참매 & 검은머리갈매기 외엔 별 재미가 없더니만

다니다 보니 이런 횡재도 한다.

흔치 않은 메추라기도요도 옆에서 한 몫 거든다.

 

 

 

 

얘들은 모두 여름깃이다. 도요과(Scolopacidae)이고 시베리아 북부에서 번식하며, 아프리카, 인도,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월동한다. 국내에서는 봄·가을에 매우 드물게 통과하고, 봄철에는 4월 하순에 도래해 5월 중순까지 관찰되며, 가을철에는 8월 하순에 도래해 10월 중순까지 관찰된다. 갯벌, 하구, 물 고인 논, 습지에 서식한다. 주로 갯벌의 물 고인 곳이나 습한 모래땅에서 바쁘게 돌아다니며 부리로 조개류와 갑각류를 잡는다. 갯지렁이를 먹을 때는 가만히 서서 구멍에 부리를 넣어 꺼내먹는다.

 

붉은갯도요와 메추라기도요

 

논에는 한 마리 보이더니 쇠제비갈매기 번식하는 곳에선 꽤 많이 보인다.

 

조금 더 다가가 찍고 싶었으나 일행들이 오기 전에 날아가 버릴까봐 대충 인증샷만 했다.

 

찍을 땐 얘가 걘지도 몰랐다. 어쨌든 욘석들을 먼저 본 사람만 찍기엔 그래서 날아가게 해선 안될 것 같았다. 

 

알고 보니 얘들도 모두 붉은갯도요다. 한 마리도 아니고 무려 10마리 정도나 된다.

 

메추라기도요

 

'조류·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쇠제비갈매기 번식지  (0) 2023.06.03
흰물떼새  (0) 2023.06.03
검은머리갈매기  (0) 2023.06.03
참매 육추  (4) 2023.06.03
까막딱따구리  (4) 2023.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