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매, 육추 장면 촬영
■ 언제 : 2023. 05. 31.(수) ~ 06. 01.(목) / 1박 2일
■ 탐조지와 탐조 내용
1일 차 : 가평 - 까막딱따구리 육추 장면, 노랑할미새 유조
시흥 - 참매 육추 장면 촬영, 관곡지를 다녀봤으나 새가 없음(개개비 소리만 듣고 쇠물닭만 촬영)
오이도로 이동(오이도에서 1박)
2일 차 : 식전 오이도 탐조 - 검은머리갈매기 촬영, 괭이갈매기 미수에 그친 짝짓기 장면 촬영
신진도와 마도로 이동 - 여기도 새가 없다.(바다직박구리만 찍음)
태안 모처로 이동 - 쇠제비갈매기와 메추라기도요, 붉은갯도요, 흰물떼새 등 다양하게 촬영
서산 간월도와 궁리항 그리고 남당항까지 갯벌 탐조를 했으나 여기도 새가 없다.
■ 누구랑 : 대구 지인 한 분, 마산 지인 한 분, 부산 지인 부부(모두 5명)
참매 육추 촬영은 다음날 하기로 예정되어 있었다.
첫날은 까막딱따구리 촬영에 올인하고 저녁 시간에 시흥으로 넘어가려 했다.
한데 8시 30분에 도착해 세 시간 정도 찍고 나니 뭐 더 있을 이유도 없었다.
명경지수가 흐르는 명당에 터를 잡아
지인들이 준비한 맛있는 초밥과 후식을 겸한 과일까지 듬뿍 먹고 일찍이 시흥으로 갔다.
예정과는 달리 참매까지 하루에 소화할 요량이다.
참매 육추 장소는 내가 아는 지인으로부터 받은 메시지대로 따라가니 쉽게 찾을 수 있었다.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았다면 자력으로 찾긴 어려운 곳이었다.
차제에 감사의 인사 말씀부터 드린다.
참매 육추도 까막딱따구리처럼 두어 시간 촬영하고 마쳤다.
두 시간 남짓 촬영하고 나니 찍어 봤자 그게 그걸 것 같았다.
유조도 이미 다 커서 날개깃도 거뭇거뭇하고 몸뚱이 전체가 새끼새다운 맛은 없었다.
이소하면 곧 어린새로 불러야 할 만큼 다 컸다.
빛도 좋지 않고 참매 촬영은 그만하고 여기까지 왔으니 관곡지나 더 탐조하고 싶었다.
우리 일행은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일시에 보따리를 챙긴 후 관곡지로 향했다.
이미 들은 대로라면 관곡지에도 새가 없단다.
관곡지라면 저어새가 대표적인데 저어새도 없단다.
저어새는커녕 도요물떼새 한 마리도 보이지 않는다.
도요물떼새는 시기가 시기인 만큼 그러려니 할 순 있겠는데
저어새 마저 여길 오지 않고 다른 곳으로 다 가고 없다.
우리 일행 중 한 분이 먼발치에서 저어새 한 마리를 봤다고 했지만
그마저 날아가고 없단다.
지치지 않고 노래하는 개개비만 까막딱따구리와 참매를 찍느라 지친 우릴 달래준다.
더문더문 보인 쇠물닭도 위로가 되긴 했지만...
우린 시흥에서 하룻밤을 유하려다
내일 '오이도'로 갈 예정이라 아예 오이도를 숙박지로 정했다.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 식전에 '검은머리갈매기'를 촬영하고
아침 식사 후 다음 코스로 이동할 작정이다.
뭘 볼진 모르겠지만 욕심은 많고 갈 길은 바쁘다.
참매 새끼새는 이미 많이 자랐고 어미는 별다른 포즈를 취해 주지 않는다. 마침 빛도 둥지 부근만 비추어 촬영 조건도 만만치 않다. 참매 육추 현장을 찍었보고 싶어 왔으니 이 정도면 그래도 충분히 만족한다. 어느 분이신지 모르겠다만 현장을 발견하고 공개해 주신 분께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
'조류·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붉은갯도요/메추라기도요 (2) | 2023.06.03 |
---|---|
검은머리갈매기 (0) | 2023.06.03 |
까막딱따구리 (4) | 2023.06.02 |
근교지에서 봤던 얘들 동태 파악을 위한 탐조 (2) | 2023.05.29 |
긴꼬리딱새 만나러 (2) | 2023.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