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류·동물

검은머리갈매기

728x90

검은머리갈매기

 

 

■ 언제 : 2023. 05. 31.(수) ~ 06. 01.(목) / 1박 2일
■ 탐조지와 탐조 내용

   1일 차 : 가평 - 까막딱따구리 육추 장면, 노랑할미새 유조

               시흥 - 참매 육추 장면 촬영, 관곡지를 다녀봤으나 새가 없음(개개비 소리만 듣고 쇠물닭만 촬영)

               오이도로 이동(오이도에서 1박)

   2일 차 : 식전 오이도 탐조 - 검은머리갈매기 촬영, 괭이갈매기 미수에 그친 짝짓기 장면 촬영

               신진도와 마도로 이동 - 여기도 새가 없다.(바다직박구리만 찍음)

               태안 모처로 이동 - 쇠제비갈매기와 메추라기도요, 붉은갯도요, 흰물떼새 등 다양하게 촬영

              서산 간월도와 궁리항 그리고 남당항까지 갯벌 탐조를 했으나 여기도 새가 없다.
■ 누구랑 : 대구 지인 한 분, 마산 지인 한 분, 부산 지인 부부(모두 5명)

 

 

 

오이도로 이동해 1박을 하고

식전부터 검은갈매기 탐조에 나섰다.

 

검은갈매기 여름깃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개체 수도 많고 촬영하기도 좋았다.

 

자리만 잘 잡으면 내 눈 앞으로 돌진해 오는 모습까지 촬영이 가능하다.

어제 관곡지에서의 허전함은 얘가 다 채워주었다.

 

식전에 밥도 먹지 않고 나왔는데 배가 부르다.

 

 

 

 

환경부 보도·설명 - 전 세계 검은머리갈매기 번식개체군 11% 국내 서식 (me.go.kr)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원장 조도순)은 최근 소형 무인기(드론)를 활용하여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검은머리갈매기의 국내 번식 개체군을 확인한 결과, 전 세계 번식 개체군 11%인 총 1,456개의 번식쌍(2,900여 마리)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와 인천대학교(이종구 교수) 협력 연구진은 자체 개발한 집단번식 해양조류 관측(모니터링) 기술을 통해 검은머리갈매기의 번식쌍 수를 파악했다. 

 

검은머리갈매기는 갯벌이 넓은 간석지나 매립지 등에서 다수가 번식하고 사람이 접근하면 집단적으로 방어 행동을 보여 그간 서식 번식개체군의 정밀한 개체수를 확인하기가 어려웠다.

 

연구진은 올해 5월 검은머리갈매기의 국내 핵심 번식지(153헥타르 규모)인 송도신도시 매립지에서 다수의 소형 무인기를 이용하여 개체수를 정밀 항공조사 방식으로 조사했다.

  

정밀 항공조사는 검은머리갈매기의 포란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검은머리갈매기, 검은머리물떼새, 쇠제비갈매기 등 함께 서식하는 종들과 포란 둥지 유무까지 구분 가능한 항공사진 1,807장을 확보하고 이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항공사진 분석 결과, 총 1,456개의 검은머리갈매기 번식쌍이 확인됐으며 이는 전 세계 번식쌍의 약 11%에 해당한다.

 

검은머리갈매기는 갈매기과 겨울철새(약 4,000마리 월동)이나 일부는 서해안(송도, 영종도)에서 집단으로 번식하고, 해외에서는 중국 동북부(랴오닝, 장쑤, 산둥 등) 해안에서 번식한다. 번식기는 4~6월이며, 알은 2~3개를 낳는다. 

 

국내 번식집단은 1998년 시화 매립지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포식자에 의한 번식실패, 개발 등의 이유로 2~3년마다 번식지를 옮겨 다니고 있다.

 

 

 

검은머리갈매기는 세계자연보전연맹의 적색자료목록에 취약종(VU)으로 분류된 국제보호조다. 우리가 촬영한 얘는 모두 검은머리갈매기 성조 여름깃이다. 형산강에서 찍은 적이 있었지만 우리 지역 가까운 곳에선 여름깃을 보기 힘들다.

'조류·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흰물떼새  (0) 2023.06.03
붉은갯도요/메추라기도요  (2) 2023.06.03
참매 육추  (4) 2023.06.03
까막딱따구리  (4) 2023.06.02
근교지에서 봤던 얘들 동태 파악을 위한 탐조  (2) 2023.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