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류·동물

(2183)
쇠딱다구리/꿩(까투리) 근교에서  ■ 언제 : 2024. 06. 09.(토) ■ 어디 : 근교 여기저기 - 육신사 - 옥포 연지 주변 야산 탐조■ 누구랑 : 혼자■ 탐조 내용 : 동고비, 쇠딱다구리, 박새, 제비, 뻐꾸기, 이소한 되지빠귀 어린새, 꿩(까투리), 황조롱이, 파랑새, 꾀꼬리   여기저기 나름 여물게 찾아 봤으나 실적은 신통치 않음 마천산과 하빈면 주변은 별로 보이는 것도 없고옥포 연지와 야산을 뒤져 봐도 파랑새가 날아다니는 모습과 꾀꼬리만 보인다. 육신사 육각정이 있는 능선에 올라 뻐꾸기랑 씨름하자니욘석이 주변에 탁란을 했는지 두 마리가 예민하게 반응을 하는데 도무지 샷을 날릴 수가 없다.좀체 기회를 주지 않는다. 주변에 나타나긴 잘 나타나는데 나뭇잎에 가려 찍기가 수월치 않다. 오늘은 꼭 무엇을 찍겠다기 보다는..
제비물떼새 2 무슨 이런 일이 다 있노?짝짓기도 보고 촬영까지 하다니 우째 이런 일이  ■ 언제 : 2024. 06. 07.(금) ■ 어디 : 백로숲에 있다가 김제로■ 누구랑 : 지인 두 분과■ 탐조 내용 : 근교의 백로류 육추 장면과 느닷없이 김제의 제비물떼새 찍으러  제비물떼새Oriental Pratincole제비도요  펌분류 : 제비물떼새과(Glareolidae)서식지 : 시베리아 동북부, 몽골 북동부, 중국 동북부, 인도차이나반도, 인도, 필리핀, 대만에서 번식하고, 동남아시아에서 오스트레일리아까지 월동한다.크기 : L26.5cm학명 : Glareola maldivarum Oriental Pratincole 서식시베리아 동북부, 몽골 북동부, 중국 동북부, 인도차이나반도, 인도, 필리핀, 대만에서 번식하고, 동..
제비물떼새 무슨 이런 일이 다 있노?도깨비한테 홀린 듯 제비물떼새 곁으로  ■ 언제 : 2024. 06. 07.(금) ■ 어디 : 백로숲에 있다가 김제로■ 누구랑 : 지인 두 분과■ 탐조 내용 : 근교의 백로류 육추 장면과 느닷없이 김제의 제비물떼새 찍으러   백로 육추 사진을 찍다가 지인 한 분이 갑자기 전화를 받더니 제비물떼새 소식을 전한다.이미 시간은 12시가 넘었고 길이 너무 멀어 오늘은 갈래야 갈 수도 없다. 연락을 받은 지인은 오늘을 넘기면 나흘 뒤에나 갈 수 있단다.나흘 뒤라면 얘가 있다는 보장이 없다.얘들은 있을 때 달려가야 한다. 그런데 아무리 그렇지만 오늘은 이미 시간이 너무 늦다. 지금 달려가면 4시 30분쯤이면 도착할 수 있다.4시라면 요즘 해가 길어져 7시까지 촬영할 수는 있다.먼 길 달려간..
한번 더 갔다. 백로 숲으로 오전까지 백로숲에서  ■ 언제 : 2024. 06. 07.(금) ■ 어디 : 백로숲에 있다가 김제로■ 누구랑 : 지인 두 분과■ 탐조 내용 : 근교의 백로류 육추 장면과 느닷없이 김제의 제비물떼새 찍으러  어제 여길 다녀가고 다양한 백로 무리의 육추 현장이 신기해평소 잘 알고 지내는 지인 두 분께 연락했다. 한 곳에서 무려 5종이나 되는 백로류의 육추 사진을 촬영할 수 있으니새를 찍고 공부하는 사람들에겐 충분히 매력적인 곳이라 할 수 있다. 난, 오늘 황로만 찍었다.다른 건 촬영각도 안 좋고 안 좋긴 황로도 마찬가지였지만어제 유조가 보이는 사진을 찍지 않았기에 황로 둥지 위주로 몇 장 찍고 말았다.  낙상한 백로 유조 한 마리가 있단다. 찾아 보니울타리 옆에 죽은 듯 엎드려 있다가 위협을 느끼고 피할 땐..
백로류 육추 다양한 백로 무리 서식지에서  ■ 언제 : 2024. 06. 06.(목) ■ 어디 : 솔부엉이/모처, 백로류/근교■ 누구랑 : 후배 지인과 함께■ 탐조 내용 : 쇠백로 육추, 중백로 육추, 해오라기와 황로 육추 현장   여긴 백로 무리가 다 모였다.쇠백로, 흔치 않은 중백로, 해오라기, 황로까지 다 있다.이 정도일 줄은 몰랐다. 중대백로는 흔한데 여기선 찍힌 사진이 없어 확인은 못 했는데이런 상황이라면 없을 리가 없다.중대백로까지 확인했다면 여긴 백로류 5종이 모여 육추를 하는 기가막힌 곳이다. 도심지 시민 산책로가 있는 자그마한 숲속에한 종도 아닌 5종의 백로 무리가 번식을 하고 있다는 것은 실로 고무적인 일이라 아니할 수 없다. 작품 사진 찍기가 그닥 좋은 곳은 아닐지언정 그건 진사의 눈맵시 나름이고..
솔부엉이 다른 지역 솔부엉이  ■ 언제 : 2024. 06. 06.(목) ■ 어디 : 솔부엉이/모처, 백로류/근교■ 누구랑 : 후배 지인과 함께■ 탐조 내용 : 솔부엉이, 이소한 노랑턱멧새 유조 암컷, 이소 막판 딱다구리 둥지, 때까치, 뻐꾸기, 파랑새   임자없는 산속을 둘이서 헤집고 다녔다.붉은배새매 소식이 제일 궁금했고 솔부엉이는 어떤 상태인지그리고 기타 다른 뭣이 있는지 뒤져보고 싶었다. 어디 마땅히 갈 곳이 없다는 지인이랑그 지역에 거주하는 분과 통화 후 둘이서 헤집고 다녔다. 먼저 파랑새는 어떤 상태인지 확인하고 아직 별다른 조짐이 없어솔부엉이의 안위부터 살폈다.솔부엉이는 건재했다.여긴 그래도 아직 널리 알려지진 않아 욘석들이 고생은 덜한다. 붉은배새매는 그림자도 보이지 않는다.둥지처럼 보이는 곳이 몇..
근교 탐조 4 소쩍새, 뻐꾸기, 칡때까치 외  ■ 언제 : 2024. 06. 04.(화) ■ 어디 : 근교■ 누구랑 : 숲해설 동기생과 함께 동행(새를 발견 후 지인 세 분 합류)■ 탐조 내용 : 칡때까치, 뻐꾸기, 소쩍새, 그 외(밀화부리, 박새, 쇠박새, 오색딱다구리, 쇠솔딱새, 흰눈썹황금새)  우연히 그냥 기대하지 않고 올라갔던 산에서뜻밖에 많은 새를 만나는 행운을 가진다. 주차 자리도 마땅찮고 해 그냥 스쳐 지나가기만 했던 곳인데시부저기 올라갔다가 금맥을 발견했다고나 할까... 여기 주연은 소쩍새, 뻐꾸기, 칡때까치지만그 외 조연도 급이 만만찮다. 흰눈썹황금새, 밀화부리, 쇠솔딱새, 박새, 쇠박새, 오색딱다구리, 붉은부리오목눈이못 찾아서 그렇지 내 짐작으론 분명히 여긴 뻐꾸기가 탁란을 했다.그렇게 짐작만 하고 ..
근교 탐조 3(소쩍새) 소쩍새  ■ 언제 : 2024. 06. 04.(화) ■ 어디 : 근교■ 누구랑 : 숲해설 동기생과 함께 동행(새를 발견 후 지인 세 분 합류)■ 탐조 내용 : 칡때까치, 뻐꾸기, 소쩍새, 그 외(밀화부리, 박새, 쇠박새, 오색딱다구리, 쇠솔딱새, 흰눈썹황금새)  참! 오늘 여기에 또 간 이유는 마침 숲해설 동기 후배가 전화가 와오늘 어디에 가느냐고 어디 간다면 동행하겠다고 해 마침 잘됐다 싶어 함께 여기로 왔다. 그렇지 않아도 혼자 가기엔 좀 꺼림칙해 누군가 함께 와야겠다고 점을 찍어 두었던 터고짐작컨대 여긴 뻐꾸기 탁란 둥지와 칡때까치 둥지가 있을 것 같다는 미련이 있었기 때문이다. 결국 원하는 둥지는 찾지 못했고 주변을 겉도는 뻐꾸기와 칡때까치랑 놀다가이웃한 산에서 소쩍새 소리가 들리기에 불러도 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