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류·동물

큰 기대없이 떠난 탐조

728x90

여긴 큰 기대는 없었다. 탐조를 주된 목적으로~

 

■ 언제 : 2021. 5. 30.(일)

어디로 : 여기저기

■ 누구랑 : 젊은 친구랑

 

 

큰 기대를 하지 않았기에 섭섭치도 없다.

어느 분이 여기서 솔부엉이를 잘 찍었다기에 가는 길에 탐조도 할 겸 잠시 들러봤다.

 

솔부엉이가 서식하기엔 딱 좋은 나무가 있었지만,

가는 날이 장날인지 우리 앞에 선을 보이진 않았다.

 

이 절은 늘 지나다니며 길가에 선 이름표만 보고 지나쳤다.

그랬던 절을 오늘은 솔부엉이 소식을 듣고 가보게 됐다.

 

절 분위기가 참 좋았다.

낙동강을 끼고 도는 산만댕이에 있어 주변 경관은 이루 말할 것도 없었다.

 

여길 오면 절로 탐욕이 사라지겠다.

절 이름도 그에 잘 어울린다.

 

&

 

소쩍새 소식이 있나 궁금하기도 하고 다른 곳 여기저기 들은 소식이 있어 탐조차 자리를 옮겼다.

여기까지 온 김에 조금 더 이동을 해 오색딱다구리와 박새가 육추한다는 곳을 찾았다.

정확한 지점을 몰라 장소를 찾는데 잠깐 애로가 있었지만, 다행히 헤메진 않았다.

 

오색딱다구리는 이미 이소했는지 소식 두절이고

그 주변을 살펴보니 박새만 새끼가 있는 둥지 속을 부지런히 드나들고 있다.

새끼의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어미가 벌레를 물고오는 장면만 몇 컷 찍고 소쩍새 탐조에 나섰다.

 

 

 

낚시하는 사람이 보트를 타고 잔잔한 강물에 파문을 그린다. 분위기가 너무 좋아 보여 한 컷~

 

바람이 빚는 풍경소리를 들었으면 좋았으련만 오늘은 풍경을 때리는 바람이 없네요. 그래도 절에 오면 가장 큰 정겨움으로 다가오는 풍경. 소리는 없지만 늘 그리움은 배어있다.

 

인동덩굴. 솔부엉이를 봤다는 곳엔 따사로운 햇살만 가득하고 기다리는 붱이는 간 곳이 없다. 길이 보이는 산 쪽으로 좀 걸을 겸 올랐더니 축 늘어진 덩굴이 보인다.

 

대웅보전 지붕 너머 낙동강 물이 유유히 흐르고 분홍빛 말간 엉겅퀴에 앉은 배추흰나비(?) 한 마리가 합장을 한 모습이 내가 지금 절간에 있구나란 생각을 들게 한다.

 

오색딱다구리는 육추가 끝나고 새끼들이 모두 이소한 것 같았다. 대신 박새가 둥지를 드나드는 곳을 발견하고 얘랑 잠시 어울린 후 곧 바로 자리를 떴다.

'조류·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밀화부리 육추  (0) 2021.05.31
솔부엉이  (0) 2021.05.31
흰눈썹황금새 육추  (0) 2021.05.27
검은댕기해오라기  (0) 2021.05.27
솔부엉이  (0) 2021.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