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류·동물

(2239)
아메리카쇠오리 아메리카쇠오리Green-winged Teal미국쇠오리  ■ 언제 : 2025. 03. 17.(월)■ 어디 : 대구 모처■ 누구랑 : 혼자(현장엔 지인 한 분 외 몇 명)■ 탐조 내용 : 수리부엉이, 아메리카쇠오리 발견 야생조류필드가이드분류 : 오리과(Anatidae)서식지 : 북미대륙 북부에서 번식한다.크기 : L35~38cm학명 : Anas carolinensis Green-winged Teal서식북미대륙 북부에서 번식한다. 국내에서는 대전 갑천, 경북 상주, 인천 송도 유수지 등지에서 관찰기록이 있는 미조다.행동주로 낮에는 안전한 하천, 호수 등지에서 휴식하거나 먹이를 먹으며 저녁 무렵에 먹이를 찾아 농경지로 이동한다.특징쇠오리와 매우 비슷하다.수컷쇠오리와 달리 앉아 있을 때 옆구리 위쪽에 흰색 가로..
수리부엉이 육추 6 수리부엉이 육추 6 ■ 언제 : 2025. 03. 17.(월)■ 어디 : 대구 모처■ 누구랑 : 혼자(현장엔 지인 한 분 외 몇 명)■ 탐조 내용 : 수리부엉이, 아메리카쇠오리 발견   이소할 때가 다 됐다.하루가 다르게 쑥쑥 잘 자라고 있다. 기특한 녀석들애비·애비도 욕봤다.
붉은양진이 암.수 붉은양진이 암.수적원자 ■ 언제 : 2025. 03. 11.(화) ~ 13.(목)■ 어디 : 울산 엄지민박에서 2박, 울산대공원은 11일 12일 이틀 방문/ 13일은 오전에 00으로■ 누구랑 : 혼자(현지에서 지인 만남)■ 탐조 내용 : 녹색비둘기는 11일엔 그림자도 못 보고 12일 날 재차 방문해 두 마리까지 봄   13일 : 붉은양진이 암.수, 새매, 굴뚝새, 노랑턱멧새 등 얘는 작년 낙동강 하구에서 암컷만 봤고 수컷은 못 봤다.이번 2~3월 중에도 부산 모처에 3번이나 갔었지만 코빼기도 보지 못했다. 오늘은 가면 본다.동기들 한텐 끝까지 함께하지 못해 미안했지만 다시 대구로 가서 오기란 쉽지 않다.울산에서 가면 시간이 많이 걸리지 않는다. 동기들과 작별하고 욘석이 있다는 곳으로 냅다 달렸다.오후에는..
새매/굴뚝새 새매/굴뚝새  ■ 언제 : 2025. 03. 11.(화) ~ 13.(목)■ 어디 : 울산 엄지민박에서 2박, 울산대공원은 11일 12일 이틀 방문/ 13일은 오전에 부산으로■ 누구랑 : 혼자(대학동기회 울산에서 2박 3일 기간 중 이틀 더 재방문)■ 탐조 내용 : 녹색비둘기는 11일엔 그림자도 못 보고 12일 날 재차 방문해 두 마리까지 봄   13일 : 붉은양진이 암.수, 새매, 굴뚝새, 노랑턱멧새 등   동기들과의 2박 3일 마지막 날은 아침 식사만 하고 난 또 먼저 일어섰다.부산으로 가야했다.뭔가 찍을 새가 있어 가야만 했다. 새매와 굴뚝새 등 다른 새들은 그저 줏었다.목표종은 아니었다만 그 이상의 득템을 한 셈이다. 제 스스로 날아와 모델이 되어 준 새매철수한 주차장에서 눈에 띈 굴뚝새 오전 한나..
녹색비둘기 녹색비둘기  ■ 언제 : 2025. 03. 11.(화) ~ 13.(목)■ 어디 : 울산 엄지민박에서 2박, 울산대공원은 11일 12일 이틀 방문■ 누구랑 : 혼자(대학동기회 울산에서 2박 3일 기간 중 이틀 더 재방문)■ 탐조 내용 : 11일은 그림자도 못 보고 12일 날 재차 방문해 두 마리까지 봄   녹색비둘기 만나러 처음 간 날이 2월 20일 목요일이다.먼길 달려갔지만 종가시나무 가지와 잎에 꽁꽁 숨은 비둘기는 내 맘처럼 얼굴을 잘 보여주지 않았다.사진은 그닥 만족스럽지 않았지만 또 가기도 그렇고 해 그러려니 했다. 금년들어 첫 대학동기회 모임 장소가 울산이란다.절호의 기회가 왔다. 모임은 저녁에 합류했고 난 바로 대공원으로 직행했다. 근데 사람이 없다. 얘가 벌써 가버린 건가?혼자 찾자니 모래밭에..
수리부엉이 육추 5 수리부엉이 육추 5  ■ 언제 : 2025. 03. 09.(일)■ 어디 : 대구 모처■ 누구랑 : 혼자(사람 점점 많이 모임)■ 탐조 내용 : 수리부엉이 유조 세 마리 잘 자라고 있음  이름 모를 새이름 없는 풀그리 불리고 싶다. 알에서 깨어난 새끼는 잘도 큰다.갈 때마다 다르다. 오늘도 애미 애비한텐 두 손 두 발 다 들었다.기어코 날샷 한 번 잡아 보겠다고 가장 늦게까지 있어 봤다만해는 지고 감도만 최대치로 솟구친다. 제기랄! 날이 어두워 찍어 봤자 헛일이다.밉다고 지인들과 얘기하는 사이 부지불식간에 휙 날아가버린다.겨냥도 하지 않았던 수컷이 먼저 날더니 이내 암컷도 날았다. 애비도 날고애미도 날았다.끝까지 남아있던 몇몇 사람들은 찍지도 못하고 닭 쫓던 개처럼 먼산만 바라봤다. 그~참!또 졌다.날샷 ..
Great-tailed Grackle Great-tailed Grackle  ■ 언제 : 2025. 03. 07.(금)■ 어디 : 부산■ 누구랑 : 혼자(지인 1, 멀리서 온 분들 여럿 만남)■ 탐조 내용 : Great-tailed Grackle   가칭 '큰꼬리검은찌르레기사촌'이라는데 누가 붙였는지 알 수 없으나어울리지 않은 옷을 입은 것처럼 뭔가 좀 어색하다. 이 녀석은 며칠 전 부산 모처의 주택가 주변에서 탐조를 하던 어린 학생이 발견했단다.눈썰미가 있는 학생이라 뭔가 다름을 느끼고 사진을 찍어 전문가에게 의뢰한 결과'Great-tailed Grackle'이라는 이름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고 한다. 어린 학생이 대단한 일을 했다.아직 우리나라에선 미기록종이고 처음 발견되다시피해아마 이 학생이 붙이는 이름에 따라 국명은 정해질 것 같다. ..
부산 목표종 外 부산 목표종 外  ■ 언제 : 2025. 03. 07.(금)■ 어디 : 부산■ 누구랑 : 혼자(지인 1, 멀리서 온 분들 여럿 만남)■ 탐조 내용 : 갈매기, 개똥지빠귀, 댕기흰죽지, 붉은부리갈매기, 대백로, 큰부리큰기러기   갈매기도 괭이나 재갈매기 아닌 것 같아 보이면 일단 찍고 본다.뭣인지는 두고 봐야 알 일이라... 괭이나 재갈매기도 허투루 보면 안 된다.워낙 비슷하게 닮은 얘들이 많아 다른 뭣일 수도 있다. 갈매기! 참 어렵긴 어렵다. 눈에 띄는 대로 보이는 대로 담은 녀석들이다.앵글에 뭣이라도 담을 수 있다는 건 나이를 잊게하는 즐거움이다. 즐거움은 누리는 자만이 가질 수 있는 특권이랄까누릴 줄 아는 이가 진정 행복한 사람이 아닐까...   갈매기  개똥지빠귀  대백로 겨울깃  댕기흰죽지  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