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899)
황조롱이 다산 낙동강 둑방 황조롱이 ■ 언제 : 2024. 03. 03.(일) ■ 어디 : 화원 연지, 다산 낙동강 둑방, 화원동산, 사문진 강변 데크로드 ■ 누구랑 : 혼자 ■ 탐조 내용 : 황조롱이, 방울새, 큰회색머리아비 이 동네 황조롱이는 어떤지 강둑길을 따라가며 쭈욱 훑어봤다. 둑방길엔 드문드문 방울새가 무리지어 앉았고 잿빛개구리매 한 마리만이 허공을 휘젓고 다닌다. 별다른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 화원동산이나 한 바퀴 돌아다녀봐야겠다고 돌아서는데 황조롱이 한 마리가 먹이를 봤는지 내 차앞에서 정지비행을 하고 있다. 그냥 보내기 안쓰러워 서비스를 해주는 것 같다. 짜슥, 그래도 범절이 있네.
상모솔새/멋쟁이새/솔잣새 등 상모솔새/멋쟁이새/솔잣새 등 ■ 언제 : 2024. 03. 02.(토) ■ 어디 : 최정산 ■ 누구랑 : 혼자 ■ 탐조 내용 : 상모솔새, 진박새, 쇠박새, 되새, 동고비, 솔잣새, 멋쟁이새 상모솔새는 올해 이 산 저 산 다니면서 많이 보는 편이다. 오늘도 여기서 잘 가지 않던 엉뚱한 곳에서 얘를 만난다. 언제 봐도 귀여운 귀요미 솔잣새/ 역광에다 소나무 상부에 빨갛게 물든 새 한 마리 보인다. 멀기도 하고 역광이라 찍어 놓고 확인해 봐도 형체가 불분명하다. 솔잣새 같아보였다. 조금 더 분명하게 찍고자 빛을 피할 겸 더 가까이 다가갔더니 어김없이 날아간다. 내가 본 건 한 마리인데 날아갈 땐 일곱 마리가 날았다. 녀석들 어디 있다가 이제 얼굴을 보여주지. 또 와야하나... 멋쟁이새/ 인물 좋은 사진은 못..
황조롱이 영천 황조롱이 ■ 언제 : 2024. 03. 01.(금) ■ 어디 : 영천 오리장림 ■ 누구랑 : 혼자(현장엔 20여 명) ■ 탐조 내용 : 황조롱이, 말똥가리, 되새, 방울새, 개똥지빠귀 황조롱이 짝짓기 멋있게 찍은 사람은 멋들어지게 올리기도 했더라만 그건 그날 운수소관이다. 오늘은 내가 있을 때까진 단 한 차례도 거사를 치루지 않았다. 그럴 줄 알았다. 여길 그렇게도 많이 드나들었지만 난 아직 단 한 번도 거사 장면을 담아본 적이 없다. 그래도 아쉽진 않다. 뭐 꼭 봐서 뭐하겠나.
광한루와 화엄사에서 덤으로 본 새들 모음 광한루와 화엄사에서 덤으로 본 새들 모음 ■ 언제 : 2024. 02. 28.(수) ■ 어디 : 남원 광한루, 구례 화엄사 ■ 누구랑 : 지인 부부랑 우리 부부 그리고 마리 ■ 탐조 내용 광한루 : 검은이마직박구리, 물까치, 원앙, 밀화부리, 큰밀화부리 구례 화엄사 : 물까치, 말똥가리, 밀화부리, 낭비둘기 이 새들은 목표종 외 본 새들 모음이다. 검은이마직박구리/ 광한루에서 말똥가리/ 화엄사 하늘을 맴도는 말똥 한 마리 화엄사에 물까치도 많다. 밀화부리/ 화엄사에도 밀화부리가 꽤 많다. 바닥에 떨어진 씨앗 줏어 먹느라 바닥까지 내려와 먹이 활동에 여념이 없다. 개체 수도 많다.
낭비둘기 낭비둘기 Hill pigeon 굴비둘기, 양비둘기 ■ 언제 : 2024. 02. 28.(수) ■ 어디 : 남원 광한루, 구례 화엄사 ■ 누구랑 : 지인 부부랑 우리 부부 그리고 마리 ■ 탐조 내용 광한루 : 검은이마직박구리, 물까치, 원앙, 밀화부리, 큰밀화부리 구례 화엄사 : 물까치, 말똥가리, 밀화부리, 낭비둘기 낭비둘기는 비둘기목 비둘기과의 새로 시베리아 중부와 동남부, 티벳 동부, 몽골, 중국 북부, 한반도 일대에서 서식하고 2아종으로 나눈다. 굴에서 산다고 해서 굴비둘기라고도 하고 집비둘기와 다른 종이다. 해외에서 유입되어 양비둘기로 불리어 외래종으로 잘못 인식되기도 한다. 집비둘기(Columba livia var. domestica)는 Rock Dove(Columba livia)가 선조이며, ..
큰부리밀화부리 큰부리밀화부리 Japanese Grosbeak ■ 언제 : 2024. 02. 28.(수) ■ 어디 : 남원 광한루, 구례 화엄사 ■ 누구랑 : 지인 부부랑 우리 부부 그리고 마리 ■ 탐조 내용 광한루 : 검은이마직박구리, 물까치, 원앙, 밀화부리, 큰밀화부리 구례 화엄사 : 물까치, 말똥가리, 밀화부리, 낭비둘기 되새과로 아무르, 중국 동북부, 사할린, 일본에서 번식하고 중국 남부에서 월동한다. 국내에서는 작은 무리를 이루어 드물게 통과하는 나그네새로 일부는 제주도를 비롯한 남부지방에서 적은 수가 월동하며, 경기도에서도 적은 수가 월동한다. 주로 봄가을에 이동하는 나그네새인데 여기 광한루에 머무른지가 꽤 된 걸로 봐 여기서 월동한 개체가 아닌가 짐작한다. 봄철에는 4월 초순부터 5월 하순까지 북상하며, ..
원앙 원앙 mandarin duck 鴛鴦 천연기념물 제327호 ■ 언제 : 2024. 02. 28.(수) ■ 어디 : 남원 광한루, 구례 화엄사 ■ 누구랑 : 지인 부부랑 우리 부부 그리고 마리 ■ 탐조 내용 광한루 : 검은이마직박구리, 물까치, 원앙, 밀화부리, 큰밀화부리 구례 화엄사 : 물까치, 말똥가리, 밀화부리, 낭비둘기 큰밀화부리 찍으러 갔다가 덤으로 담은 원앙 광한루 원앙은 개체 수도 제법되고 근접 촬영이 가능해 수월하게 담을 수 있다. 원앙을 찍고 싶으면 주로 청도로 가는데 청도 유등교는 거리가 있어 이렇게 세밀하게 찍긴 쉽지 않다. 온 김에 인물 사진 원없이 찍었다. 운 좋게 짝짓기하는 장면도 얻어 걸리고~ 여기서부턴 짝짓기하는 장면이다. 이미 서로 교감이 된 상태라 암컷한테 점지된 수컷이 다가..
최정산 & 유등교 최정산 & 유등교 ■ 언제 : 2024. 02. 27.(화) ■ 어디 : 최정산 & 유등교 ■ 누구랑 : 혼자 ■ 탐조 내용 : 논병아리, 멋쟁이새, 밭종다리, 상모솔새, 쇠박새, 알락할미새, 진박새, 청머리오리 마땅히 갈 곳도 없고 숨은 쉬어야겠기에 또 여길 갔다. 오늘은 긴꼬리홍양진이를 볼 수 있으려나 하는 마음도 없잖아 있었다. 운이 닿으면 '짜잔'하고 내 앞에 나타날 수도 있다. 긴꼬리홍양진이는커녕 양진이도 보이지 않고 겨우 멋쟁이새 수컷 한 마리가 나뭇가지에 앉은 모습을 본다. 유등교도 마찬가지다. 원앙이 좀 보였지만 꼼짝도 하지 않기에 나도 차에서 내리지 않고 거들떠 보지도 않았다. 짜슥들 버르장머리가 없어 오늘은 흰목물떼새도 보이지 않는다. 스무 마리 정도는 늘 있었는데 얘들이 어딜 갔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