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류·동물

알락꼬리마도요 1

728x90

한 발로 서 있는 알락꼬리마도요

 

■ 언제 : 2023. 08. 22.(화)
■ 어디 : 포항 여기저기(칠포-청림-도구-임곡-형산강)
■ 누구랑 : 혼자
■ 탐조 내용 : 귀제비, 깝작도요, 뒷부리도요, 민물가마우지, 바다직박구리, 백할미새, 붉은발도요, 붉은부리갈매기, 붉은부리큰제비갈매기, 붉은어깨도요, 세가락도요, 알락꼬리마도요, 좀도요, 종달도요, 중대백로, 중부리도요 40수 정도, 큰왕눈물떼새, 흰물떼새(18종)

 

 

오늘 가장 많이 본 새는 중부리도요와 알락꼬리마도요다.

칠포에서도 알락꼬리마도요 두 마리랑 놀고

여기서도 두 마리와 아주 다정하게 놀았다.

 

오늘 가장 많이 보고 찍었던 새는 중부리도요였지만

가장 가깝고 가장 즐겼던 녀석은 바로 이 녀석들 두 마리다.

 

혼자 땡볕에 데크길 계단에 앉아 녀석들과 숨고르기를 하는데

처음엔 숨을 죽여 다소 긴장 모드를 취했다만

시간이 갈수록 익숙해졌는지 자동으로 안전모드가 작동되었다.

 

얘는 내가 촬영하고 있음에도 난 안중에도 없다.

하고 싶은 행동은 다한다.

바로 내 앞에서 목욕도 하고 깃털 고르기도 하는 것으로 보아

날 적군으로 여기지 않는 분위기다.

 

나한테 새 냄새가 나는가 보다.

 

얘는 사진이 많아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탑재한다.

먼저 외다리로 쉬고 있는 장면부터 모아봤다.

 

 

그럼 지금부턴 내친김에 새가 한 발로 서있는 이유를 알아볼까요?

궁금하신 분은 이 사이트를 클릭하시면 많은 도움이 될 겁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새는 왜 한 발로 서 있을까?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조류·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락꼬리마도요 3  (0) 2023.08.24
알락꼬리마도요 2  (0) 2023.08.24
세가락도요  (0) 2023.08.23
붉은어깨도요  (0) 2023.08.23
붉은부리큰제비갈매기  (0) 2023.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