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결국 쇠부엉이를 알현 했답니다.
■ 언제 : 2021. 1. 25.(월)
■ 어디로 : 청* **천변 *** 토성 부근
■ 누구랑 : 아내랑
쇠부엉이 학습
<국생종 야생조수류자원, 다음 백과, 웹문서 나무위키를 참고로 자료 정리함>
조류명 : 쇠부엉이
학명 : Asio flammeus(Pontoppidan, 1763)
분류군 : 올빼미과(Strigidae)
크기 : L 36~39cm
문화재 지정 : 천연기념물 324-4호
생태적 특징
평지의 넓은 초원, 농경지, 산지 및 해안 등에서 관찰되며 풀밭 및 키 작은 나무 숲 등 땅 위의 오목한 곳에 둥지를 만든다. 알은 흰색의 타원형이며 짝짓기 후 약 4-8개 정도 낳는다. 유럽, 러시아의 시베리아, 북극 툰드라 및 캄챠카 반도 등과 몽고 북부, 중국 동북지방 등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는 흔치 않은 겨울새이며 서산 간척지대 농경지와 같이 간척지에서 겨울에 가끔 볼 수 있다.
칡부엉이가 산림에서 서식하는 데 비해 쇠부엉이는 개방된 평지에서 생활한다. 주로 야간에 활동하지만 흐린 날에는 낮에도 먹이를 찾는다.
일반적 특징
암수 구별이 힘들다. 전체가 엷은 갈색 또는 황갈색이다.(깃털 색이 엷은 담색형도 있다). 칡부엉이보다 귀깃이 무척 짧다. 얼굴은 엷은 갈색이며 눈 주변은 갈색으로 개체에 따라 차이가 심하다. 몸 아랫면은 흑갈색 세로줄무늬가 있으며 아랫배로 갈수록 가늘어진다(가슴의 갈색 줄무늬 폭은 수컷이 가늘다). 홍채는 노란색이다. 날 때 바깥쪽 첫째 날개깃 끝부분이 칡부엉이보다 어둡고 검은 줄무늬가 2~3열 보인다. 날개 끝과 익각에 흑갈색 무늬가 있다.
서식지
개방된 평지, 강가의 농경지, 갈대밭 주변에 서식하며 주로 땅 위에 앉아 생활한다.
먹이습성
주로 들쥐나 설치류를 잡아먹는다.
행동습성
주로 야간에 활동하는 야행성이고, 흐린 날은 낮에도 먹이를 찾는다. 소리는 번식기에만 "부, 부, 부"하고 낮게 운다. 10월 초순부터 도래하여 월동하고, 3월 하순까지 관찰된다.
닮은종
칡부엉이 : 칡부엉이와는 사촌지간으로 같은 쇠부엉이 속(Asio)이다. 전체적으로 등갈색 기운이 강하다. 칡부엉이는 크고 아름다운 귀깃을 가진 반면 쇠부엉이는 올빼미로 오인할 정도로 귀깃이 짧거나 아예 없어 보여 확연히 비교된다. 몸 아랫면에는 가로 줄무늬와 세로 줄무늬가 있다. 홍채는 오렌지색이다.
난생 처음 본 쇠부엉이 날샷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