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논병아리
화성에서
■ 언제 : 2023. 09. 25.(월) ~ 26.(화)
■ 어디 : 화성 - 매향리 - 천수만
■ 누구랑 : 혼자(1박 2일 동기 모임 논산 가는 길에)
■ 탐조 내용 : 화성에서는 논병아리 어린새와 매만 봤음, 노랑때까치 한 마리 봤지만 촬영은 미수에 그침
천수만 - 검은가슴물떼새, 갑자기 날아오른 해오라기 한 마리, 깝작도요, 꺅도요, 노랑부리저어새, 민물도요, 발구지, 붉은가슴밭종다리, 쇠오리, 쇠청다리도요, 알락도요, 장다리물떼새, 제비, 흑꼬리도요, 갈매기류
25일 ~ 26일은 논산에서 연기했던 동기 모임이 있다.
늘 그랬듯 난 모임 당일은 저녁 시간에 합류한다.
하루는 탐조하고 하루는 모임에 참여해주어야 해
새를 보자면 아침 일찍 서두를 수밖에 없다.
먼저 화성으로 달렸다.
개구리매와 알락개구리매를 볼 수 있으려나 싶어 여기부터 갔다.
여긴 한 때는 한국의 세렝게티라 부를 정도로 새도 많고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간직한 대평원이었는데
다른 곳과 마찬가지로 여기도 해가 갈수록 새들이 보이지 않는다.
탄자니아의 국립공원인 '끝없는 평원'이란 뜻을 가진 한국의 세렝게티는 이제 옛말이 되어버렸다.
먼 길 달려갔지만 역시 듣던 대로 새는 보이지 않았다.
흰꼬리좀도요가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만 얘는 작년 포항에서 근접 사진까지 찍었던 기억이 있어
크게 보고 싶었던 녀석은 아니지만, 천수만에서 만난 모 조류 밴드 리더님의 얘기론 여기에 있다고 한다.
난 천수만에 있는 줄 알았다.
확실하게 알았더라면 욘석이라도 좀 찍었을 걸 하는 아쉬움만 남았다.
여긴 지역이 너무 넓어 도보로 탐조하기란 어렵다.
주로 차량 탐조에 의지해야 한다.
시간이 넉넉하다면 걸어서 다니면 좋겠지만 그래도 걸어서 새를 찾기란 쉽지 않다.
나는 여길 둘러보고 매향리도 가야 하고 천수만을 훑어본 후 간월호를 시작으로
궁리항과 남당항까지 둘러볼 계획이라 지체할 여유가 없다.
짧은 시간에 너무 광범위한 지역을 돌아봐야 해 마음은 바쁘기만 하다.
몇 바퀴 돌아봐도 새가 보이지 않는다.
노랑때까치로 보이는 녀석 한 마리가 전깃줄에 앉아 있었지만
사정거리를 주지 않는다. 가까이 가면 날아가 버린다.
겨우 매 한 마리가 전봇대에 앉아 있는 모습을 발견하고 찍은 게 다다.
이 녀석은 살살 가까이 접근해도 날아가지 않는다.
화성호에서 건진 전부라 할 수 있다.
물 고인 논에 흔한 물닭과 흰뺨검둥오리, 아직 어린 논병아리 몇 마리가 보인다.
논병아리 한 마리만 먼발치에서나마 찍고
화성호에서의 탐조를 마감하고 매향리로 향했다.
매향리도 운때가 맞지 않았다.
물때가 맞지 않아 사진기를 꺼낼 필요조차 없었던 것이다.
지난 번 방문 때도 그랬는데 이번에도 운이 닿지 않는다.
그저 갯벌 끄트머리를 바라보며 시원한 바닷바람만 쐰다.
10분쯤 여유를 갖고
천수만으로 달렸다.
매
논병아리 어린새
'조류·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도리도요 (4) | 2023.10.01 |
---|---|
천수만에서 본 새 (0) | 2023.09.28 |
옥포 일대와 수목원에서 본 새 (0) | 2023.09.24 |
꺅도요/민물도요/삑삑도요/알락도요 (0) | 2023.09.24 |
알락도요와 찌르레기 (0) | 2023.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