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곳부리도요
■ 언제 : 2022. 8. 9(화)
■ 어디 : 포항
■ 누구랑 : 혼자(현장에서 지인 두 부부와 영천 지인 한 분 만남)
■ 탐조물 : 개꿩, 꼬까도요, 세가락도요, 좀도요, 노랑발도요, 뒷부리도요, 민물도요, 붉은어깨도요, 알락꼬리마도요, 마도요, 중부리도요, 큰뒷부리도요, 송곳부리도요, 중대백로, 왕눈물떼새, 왕눈물떼새 어린새, 흰물떼새, 흰물떼새 어린새, 검은머리물떼새 한 마리, 메추라기도요, 검은댕기해오라기, 황새, 백할미새, 방울새, 흰뺨검둥오리(23종)
종 추가
보기 힘든 녀석을
엄청 가까이
엄청 많이
실컷 찍었다.
네 번 가서 처음 만났다.
오늘 처음 갔던 곳에서 찍었는지라
진즉 왔었는지는 모르겠음
분류 : 도요과(Scolopacidae) |
서식지 : 스칸디나비아반도 북부와 러시아 서북부, 시베리아 동북부에서 번식하고, 중동, 인도,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월동한다. |
크기 : L17cm |
학명 : Limicola falcinellus Broad-billed Sandpiper |
서식
스칸디나비아반도 북부와 러시아 서북부, 시베리아 동북부에서 번식하고, 중동, 인도,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월동한다. 지리적으로 2아종으로 나눈다. 국내에서는 봄·가을에 드물게 통과하는 나그네새다. 봄철에는 4월 초순에 도래해 5월 초순까지 관찰되며, 가을철에는 8월 중순에 도래해 10월 하순까지 관찰된다.
행동
갯벌, 하구, 모래갯벌, 물 고인 논에 서식한다. 단독 또는 작은 무리를 이룬다. 갑각류, 조개류, 곤충의 유충, 지렁이를 잡는다.
특징
연령에 관계없이 흰 눈썹선과 머리옆선이 있다. 부리는 길고 폭이 넓으며 끝 부분이 아래로 굽었다.
여름깃몸윗면은 흑갈색이며 깃 가장자리가 적갈색이다. 등에 V자 형 흰 무늬가 있다. 가슴과 옆구리에 흑갈색 줄무늬가 뚜렷하다.
겨울깃몸윗면은 회색이며 어깨깃에 검은색 축반이 있다. 날개덮깃 가장자리는 흰색이다. 가슴옆에 가느다란 흑갈색 줄무늬가 흩어져 있다.
어린새성조 여름깃과 비슷하지만 등에 갈색 기운이 많고 가슴옆에 흐린 황갈색 줄무늬가 있다.
송곳부리도요와 세가락도요/비교 차원에서